티스토리 뷰

미인도를 그린 신윤복










양반 사대부의 풍류와 기방의 기녀를 주로 그린 

신윤복,,도시적감각과 해학스럽게 그린 

조선후기의 3대 풍속화가 중 한명이다

김득신,,김홍도와 더불어말이다


신윤복하면 가늘고 유연한 선표현이 유명하다

그리고 현대적인 감각적인 구도표현이 돋보이는데

본관은 고령이며 호는 혜원이었다고 한다

혜원은 풀이름 혜에 동산 원이다

산과들을 좋아했나,,? ㅎㅎ

왠지 바람같은 신윤복의 세계가 보이는듯하다


출생은 1758년에 했는데

사망일수는 어디에도 나와있지 않았다


그는 집안이 그림을 그리는 곳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림을 배우는 것은

대대로 유연하게 배웠는듯하다








혜원 신윤복이 있었던 조선후기는

유학자들의 학문과 문학활동이 융성하고

여성의 학문활동에도 개방적으로 변할려했던

시대였다고 한다


신윤복은 그 시대 서민층을 익살스럽게 그리곤했던

김홍도와 풍속화가로 유명했었지만

그와는 다른 화풍으로 소재도 다르게 

그리곤하였다


그래서 지금까지도 신윤복하면 미인도로 

유명하고 그의 색깔이 더욱 뚜렷한지도 모르겠다


남녀간의 연애, 향략적인 생활을 주로 그린

신윤복은 도화원에서 이런그림을 그려

쫒겨난것으로도 되어있는데

그의 화풍이 그 시대에 비해 

자유로운것으로 보아 

어릴적부터 그림을 그려온 탓에

생활이나 정신세계가 자유롭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













김홍도는 선이 강하고 활달하며

신윤복은 선이 가늘고 유연하며 곱다

꼭 여성이 그린듯하다

그리고 그는 배경이 치밀하고 자세히 

그리는 것을 즐겼다고 한다

김홍도는 주제를 위해 생략하는 것을

즐겼다면 그는 채색도 엷은 갈색으로

농도를 옅게 해서 하나하나

세세하게 그렸다고 하니

배경을 둘러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위의 그림은 월하정인과 주사거배이다

월하정인 뜻을 살펴보면

달밝은 밤에 사랑하는 이를 

만나는 그림이 아닐까싶다

쑥스러워하는 여인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조선후기때는 상업화 과정에서

서민들이 경제활동이 두드러졌다고 한다

이러한 조선의 배경으로 인해

신윤복이 고리타분한 양반의 세습문화에서

벗어나 좀 더 자유로운 필체를 할수있었던

배경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신윤복 그의 그림은 

시대를 비판하거나 조소하는 그림은 아니지만

현실을 낭만스럽게 그리고 해학스럽게 그린다


나도 그림을 그렸지만

한 시대에서 다른화풍을 그리기가 어렵다

실험정신이 있지않으면

이렇게 독특하게 그리기가 어려운데

다 같은 그림에서 신윤복 그의 그림은

어딘지 모르게 감각적이고

그 시대에 실험정신을 간직한 이가 아닌가싶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공지사항
Total
Today
Yesterday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